본문 바로가기

건강하고 행복하게

한국인이 지진·북핵보다 더 걱정하는 것은···성인 3839명에게 물어보니

지난 3월26일 서울 서강대교에서 내려다본 강변북로의 모습. 이날 초미세먼지(PM-2.5) 평균 농도는 서울 88㎍/㎥, 부산 57㎍/㎥, 광주 67㎍/㎥, 대전 58㎍/㎥, 경기 68㎍/㎥, 강원 52㎍/㎥, 충북 68㎍/㎥, 세종 60㎍/㎥, 제주 52㎍/㎥ 등으로 모두 ‘나쁨’(51∼100㎍/㎥) 수준을 보였다. / 이준헌 기자 ifwedont@

지난 3월26일 서울 서강대교에서 내려다본 강변북로의 모습. 이날 초미세먼지(PM-2.5) 평균 농도는 서울 88㎍/㎥, 부산 57㎍/㎥, 광주 67㎍/㎥, 대전 58㎍/㎥, 경기 68㎍/㎥, 강원 52㎍/㎥, 충북 68㎍/㎥, 세종 60㎍/㎥, 제주 52㎍/㎥ 등으로 모두 ‘나쁨’(51∼100㎍/㎥) 수준을 보였다. / 이준헌 기자 ifwedont@

한국인이 가장 불안을 느끼는 ‘위험요소’는 북핵도, 지진도 아닌 미세먼지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Ⅳ)’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성인 3839명을 대상으로 각종 위험에 대한 불안 수준을 측정한 결과, 가장 높은 항목은 ‘미세먼지 등과 같은 대기오염’으로, 점수는 3.46점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1점(전혀 불안하지 않다)부터 5점(매우 불안하다)까지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한국인이 지진·북핵보다 더 걱정하는 것은···성인 3839명에게 물어보니

대기오염 다음으로는 경기침체 및 저성장(3.38점), 고령화로 인한 사회문제(3.31점), 수질오염(3.29점), 성인병·실업 및 빈곤(각 3.27점), 북한의 위협 및 북핵 문제·노후(각 3.26점) 순이었다.

불안점수가 낮은 항목은 홍수 및 태풍(2.63점), 지진 및 쓰나미(2.73점), 가족해체 및 약화(2.64점), 권력과 자본에 의한 민주주의 위기(2.84점) 등이었다. 

보고서는 환경 문제에 대해 불안이 높아진 이유에 대해 “2017년 초부터 미세먼지 증가 현상과 이를 둘러싼 오염원 논쟁이 확대되면서 대중의 인식이 부각된 결과”라면서 “생태 환경과 관련해 우리 국민은 자연재해보다는 환경 문제를 좀 더 일상에 가까운 사안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불안을 영역별로 나눠보면, 환경 관련 위험에 대한 불안이 평균 3.31점으로 가장 높았고, 경제생활 불안(3.19점), 건강 불안(3.15점), 사회생활 불안(3.13점)도 높은 편이었다. 상대적으로 생애주기 불안(3.04점), 정치·대외 관계 불안(2.97점), 자연재해 관련 불안(2.84점)은 점수가 낮았다.

사회적 계층과 연령에 따라 불안을 느끼는 정도도 달랐다. 자연재해와 건강, 생애주기 관련 영역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더 불안을 느꼈지만, 범죄와 산업재해와 같은 사회적 영역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불안감이 컸다. 환경 문제는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 문제는 소득이 높을수록 불안 수치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