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리즈

[기자메모-시험사회]개천은 어디고 용은 누구인가

서울 노량진의 한 학원에서 수험생들이 강의실을 가득 메운채 강의를 듣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서울 노량진의 한 학원에서 수험생들이 강의실을 가득 메운채 강의를 듣고 있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용은 왜 나야하는데?”

지난 19일부터 24일까지 3회에 걸쳐 경향신문이 내보낸 <‘시험사회’ 문제를 풉시다>(시험사회) 기획을 본 한 독자가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이런 댓글을 달았다.

<시험사회>는 ‘개천용 신화’가 통했던 과거와 달리 시험 ‘한 방’으로 계층 상승을 이루기 힘든 현실을 다뤘다. 댓글 중에는 “일단 판검사가 ‘용’이라는 구시대적 사고를 폐기할 때가 됐다”는 내용도 있었다.

얼핏보면 독자들은 댓글을 통해 서로 다른 얘기를 하는 듯 했다. 그러나 속내는 모두 ‘그나마 시험이 공정하다’고 말하고 있었다. “그래도 시험이 제일 공정하다. 이 나라에선 다른 건 안 돼.” “부모 잘 만나는 게 최고의 스펙이다. 이것은 진리.” 어느정도 예상은 했지만 생각보다 격한 반응에 놀랐다. 지인들 역시 “나도 요즘 그렇게 느끼던 참이다” “학부모 입장에선 이것저것 보느니 시험이 제일 깔끔하다”고 했다. ‘학력고사 세대’는 예전이 좋았다고 회상했다. 한 독자는 메일을 보내왔다. “점점 더 신분의 상하이동이 없는 경직을 넘어 강직 사회로 가고 있습니다. 사회가 역동적이지 못하면 폐망에 진입하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그 역시 “로스쿨은 빈민에게는 별나라 이야기”라며 사법시험이 더 공정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차라리’ 시험이 낫다고 말했다. 물론 다양한 요소를 평가하면 좋지만 학연·지연·혈연이 지배하는 한국사회에서 믿을 수 있는 건 시험점수 밖에 없다고 했다. 일리있는 말이다. 하지만 시험으로 국가 엘리트를 키우는 고속성장 시대는 지났다. 창의성·독창성·자율성을 강조하면서 오로지 시험으로 개인을 평가하는 것은 모순이다. 시험으로 ‘개(천)룡’이 탄생하기 힘들다는 사실은 굳이 통계를 들여다보지 않아도 안다. ‘정시확대·사시부활’을 주장하는 수많은 댓글에 공감하면서도 동조할 수 없는 이유다.

‘개룡’이라는 표현을 다시 생각해본다. 개천은 어디고 용은 누구인가. 언제까지 개천은 개천이고 용은 용이어야 하나. 사회는 가난하고 낙후된 곳을 ‘개천’으로, 소위 명문대 출신에 출세한 인물을‘용’이라고 단정지어 왔다. 꼭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다는 말처럼 들린다. 이런 차별적 표현이 계층이 굳어지는데 일조했을 수도 있겠다. ‘개룡 신화’는 약해졌지만 시험으로 안정된 삶을 사는 이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의 격차가 여전한 걸 보면 말이다.

“개인들의 시험 경쟁력은 엄청난데 사회 전체의 생산적인 경쟁력은 떨어졌다”는 이번 기획의 지적처럼 ‘시험사회’는 개조가 필요하다. 시험으로 출세해 이미 보상을 거머쥔 이들과 장벽에 가로막혀 기회를 얻지 못한 이들 모두에게 성장하고자 하는 욕구 따윈 없다. 팍팍한 현실을 ‘할 수 있다’는 ‘정신승리’로 이겨내라는 주문도 통하지 않는다. ‘그나마’ ‘차라리’ 시험이 낫다는 이야기는 정답이 될 수 없다.

단순히 교육제도와 선발방식 변화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다. ‘개룡’이라는 표현이 무의미해지도록 사회경제적 차별을 해소하는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 교육 뿐 아니라 경제, 노동, 복지 등 우리 사회 모든 요소를 이야기해야 한다. 계층과 상관없이 안정된 성취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사회를 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