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과 생태

DMZ 일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추진…남북 환경협력으로 확대되나

정부가 비무장지대(DMZ) 접경지역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을 추진한다. 남북이 공동으로 DMZ을 보전하기 위한 첫 발을 떼게 됐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 유네스코 인간과생물권계획(MAB) 한국위원회 사무국은 DMZ 접경지역인 강원 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군과 경기 연천군 전역, 제주도 전역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을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지난 9월28일 유네스코 MAB 한국위원회 사무국에서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내년 6월 유네스코 승인 여부가 결정된다.

이번에 신청한 생물권보전지역의 핵심은 비무장지대 일대의 자연이다. 전쟁과 분단이라는 비극으로 생겨난 공간이지만,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고 개발에서 벗어나면서 높은 생태적 가치를 지니게 됐다. 강원도 5개군은 ‘강원생태평화 생물권보전지역’이란 명칭으로 지정을 추진한다. 해당 지역 민통선지역과 DMZ접경지역이 대상이다. 

철원군과 닿아있는 연천군은 ‘연천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이란 이름으로 지정이 추진되며, DMZ를 제외한 연천군 전체가 해당된다. 제주도는 한라산 중심으로 설정된 기존 생물권보전지역의 범위를 곶자왈, 오름, 추자도 등 제주도 전체로 확대하는 신청서를 냈다.

환경부는 2012년에도 DMZ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추진했지만 당시엔 지정이 보류됐다. DMZ를 관할하는 유엔군사령부의 등재 동의를 얻지 못한데다가 지역주민들의 호응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일부 지역의 용도구역 설정이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하지만 환경부는 이번에는 등재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DMZ을 제외하고 가능한 지역부터 신청하는 것으로 전략을 변경하는 한편 해당 지자체와 함께 용도구역 재설정과 주민 교육사업도 벌였다. 유승광 환경부 자연생태과장은 “유네스코 보존지역으로 등재돼도 법적인 강제력은 없지만, 전 세계가 DMZ의 생태적 가치를 인정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이름을 알릴 수 있고, 지자체에서도 철원 오대쌀에 유네스코 로고를 넣는 식으로 홍보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 개발 과정에서 한번 더 고민하고, 개발이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국제 기준을 고려하게 돼 DMZ 생태를 보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남북 사이에 훈풍이 불면서 이번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이 DMZ의 평화적 활용과 생태 보존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유승광 과장은 “남북이 공동으로 DMZ를 보전·관리하는 길이 열리는 등 남북 환경협력사업이 조속히 추진되기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아직까지는 북한과 직접 교류 채널이 없어서 내부에서 협력 과제를 발굴하고 있지만, 앞으로 양자 협력이나 국제기구를 낀 삼자 협력의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은 전 세계적으로 뛰어난 생태계를 보유한 지역을 대상으로 유네스코에서 선정하는 보호지역(생물권보전지역, 세계유산, 세계지질공원) 중 하나다.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해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곳이다. 전 세계적으로 122개국 686곳이 지정되어 있다. 한국은 설악산, 제주도, 신안다도해, 광릉숲, 고창, 순천 등 6곳이 있다. 북한은 지난 7월 순천과 함께 지정된 금강산을 비롯해 백두산, 구월산, 묘향산, 칠보산 등 5곳이 있다.